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노인회관 잠정폐쇄 결정에 일부 노인회원들 반발

 달라스 한국노인회(이하 노인회)의 노인회관 잠정 폐쇄 결정에 대해 일부 노인회원들이 반발하고 나섰다. 앞서 노인회는 지난 2월15일(토) 열린 2월 월례회에서 노인회관 잠정 폐쇄를 발표한 바 있다. 근거는 전문 업체를 고용해 건물 인스펙션을 실시한 결과, 곰팡이 등 건물의 상태가 노인회원들의 건강과 안전에 매우 위험할 수 있다는 보고서다. 2월 월례회에서 크리스 전 노인회 사무총장은 시청각 자료를 이용해 인스펙션 과정을 상세히 설명했다. 크리스 전 사무총장은 인스펙션을 실시한 폴 라마디 씨가 이 분야의 전문가라고 소개한 후, 그가 실시한 인스펙션 결과를 발표했다. 인스펙션은 여러 장비를 이용해 건물 외부와 내부에서 실시됐다. 적외선 사진촬영도 실시됐다. 인스펙션은 육안으로 보이는 곰팡이 위주로 실시됐다.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건물 전체에 대한 인스펙션은 실시되지 않았다. 하지만 육안으로 보이는 곰팡이 인스펙션 결과만으로도 노인회관이 심각한 상태에 있다는 것이 확인됐다고 크리스 전 사무총장은 발표했다. 크리스 전 사무총장은 월례회에서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채취한 샘플에서 곰팡이가 높게 검출됐다”며 “실외에서 발견한 곰팡이는 총 7가지였고 월례회가 이뤄지는 회의실에서 자그마치 10가지의 곰팡이가 검출됐다”고 전했다. 크리스 전 사무총장은 인스펙터의 말을 인용해 건물 전체를 검사했다면 더 많은 곰팡이가 검출됐을 것이라고 전했다. 크리스 전 사무총장에 따르면 클라도스포리움, 아스페르길루스, 블랙몰드로 불리는 스타티보틀리스 곰팡이 등이 검출됐다. 크리스 전 사무총장은 또 노인회관이 지은지 오래돼서 지붕도 새고 곰팡이가 심해 상해보험 가입도 거의 불가능해, 혹여 방문객이 노인회관 내에서 사고를 당할 경우 법적 문제도 생길 수 있다고 전했다. 하지만 일부 노인회원들은 이 같은 노인회 집행부의 발표에 수긍하지 못하고 있다. 이들은 지난 3월29일(토) 캐롤튼의 모처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노인회관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해달라며 현 집행부를 향해 촉구했다. 이들은 현 집행부가 절차를 밟지 않고 노인회관 잠정 폐쇄를 독단적으로 결정한 것이며, 이는 노인회원들 다수가 원하는 방향이 아니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노인회관에 곰팡이 문제가 발생한 것은 관리를 소홀히 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기자회견에 참석한 한 노인회원은 “직전 회장은 수시로 노인회관을 관리하고 수리했다”며 “현 회장이 취임한 후 노인회관 관리가 전혀 이뤄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또 다른 노인회원은 “현 노인회관에 곰팡이 문제가 없었다 해도 현 집행부는 노인회관으로 돌아갈 생각이 없는 같다”며 “노인회관을 팔아 문화센터로 들어갈 생각인 것 같다”고 주장했다. 한 노인회원은 “현 회장이 같은 교회에 출석하는 모 인사에게 노인회관 건물 매각을 요청한 것으로 안다”며 “현 회장이 노인회관 건물의 시세를 알아보기까지 한 것으로 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노인회관 매각을 반대하는 100여 명의 서명을 받아놓았고, 이 때문에 현 집행부가 매각을 단행하지 못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곰팡이를 제거하는 데 큰 비용이 들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한 노인회원은 “우리가 견적을 받아보니 2만 5천 달러면 노인회관을 수리할 수 있다고 하더라”며 “한 독지가가 5천 달러를 내기로 했고, 나머지 2만 달러만 모금하면 된다”고 했다. 그러면서 “2만 달러만 있으면 노인회관을 수리할 수 있는데, 난데없이 5월에 ‘달라스 효 문화축제’를 연다고 하니, 사람 놀리는 것 아니냐”며 “노인회관의 보험과 수리, 그리고 법적 문제는 우리가 알아서 할 테니 노인회관에 들어갈 수 있게 해달라”고 촉구했다. 이 같은 노인회원들의 목소리에 대해 현 집행부는 노인회관을 현 상태로 개방하는 것은 위험한 일이라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노인회관을 팔아 문화센터에 들어가려 한다’는 주장에 대해 현 집행부는 “노인회관은 예전에 달라스 한인회가 마련한 건물을 노인회에 기증한 것”이라며 “노인회관이 노인회의 것이라는 주장은 잘못됐고, 그 누구도 독단적으로 노인회관을 처분할 수 없다. 노인회관을 처분하려면 범 동포사회적 공청회를 거쳐야 한다”고 반응했다. 노인회관의 곰팡이 문제가 심각한 수준이 아니라는 주장에 대해서는 “전문업체를 고용해 인스펙션을 실시했고, 그 결과가 매우 충격적일 정도로 상태가 심각하다는 의견이 나왔다”며 “노인회관을 현 상태로 개방하는 것은 노인회원들을 사지로 내모는 것과 같다”고 밝혔다. 5월 달라스 효 문화축제에 대해서는 “어떻게 노인회관에만 모든 신경을 쓸 수 있느냐”며 “할 일은 하면서 노인회를 운영해 가야 할 것 아니냐”고 반응했다. 현 집행부는 “문화센터에 노인회원들이 장기, 바둑, 레크리에이션 등을 즐길 수 있는 깨끗한 공간을 마련해 놓았다”며 “왜 굳이 문제가 많은 노인회관으로 가려 하는지, 이해를 시키려고 노력하지만 너무 힘들다”고 하소연했다. ‘노인회관 문제를 회원들의 투표로 결정하는 게 어떻겠냐’는 기자의 질문에 기자회견에 참석한 노인회원들은 “다수의 회원들이 문화센터 사용을 선호하기 때문에 그것은 안된다”고 반응했다. 그러면서 “노인회관은 역대 노인회장들이 노력해 세운 것이다. 그분들의 노력과 가입한지 얼마 안 되는 회원들의 뜻을 어떻게 동등하게 볼 수 있느냐”고 반응해 노인회관을 둘러싼 회원들간 이견은 쉽게 좁혀지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토니 채 기자〉노인회관 잠정폐쇄 노인회관 건물 노인회관 매각 노인회관 잠정

2025-04-04

“노인회관의 주인은 모든 회원들” 달라스 한국 노인회 8월 월례회 개최

 달라스 한국노인회는 지난 17일(토) 한인문화센터 아트홀에서 오전 11시에 월례회로 모였다. 40여 명이 모인 이날 월례회에서는 낙후된 노인회관과 문화센터의 사용에 대한 설명과 의견 수렴 및 2/4분기 재무보고가 월례회에서 진행됐다.   회의를 시작하는 말에서 이형천 달라스 한국노인회 회장은 이 날 모임의 목적이 달라스 한국노인회 모임 장소 사용에 대한 토론과 노인회관과 관련해 불거진 문제들에 대한 확실한 정보를 함께 나누고 의견을 수렴하기 위함이라고 설명하며 이날 모임의 주 목적에 대한 설명의 말을 이어갔다. 이혀언 회장은 “지난 8.15 광복절 행사 때 김래웅 전 한인회 회장을 통해 달라스 한국노인회관에 대한 정보를 들을 수 있었다. 노인회관은 김 전 회장이 6만불을 내고 구입한 것이고 그때 은행과 회계 관련 처리는 김용삼 전 부회장을 통해 이뤄졌다”라고 말하며 “노인회관을 수리하거나 매매하는 문제는 우리끼리 결정할 일이 아니라 한인회장과 각 단체장들 및 그 당시 건물 매입에 관여한 김래웅 전 회장, 김용삼 전 부회장 등 예전 임원들이 함께 모여서 공청회와 같은 공식 회의를 거쳐서 결정되어야 한다”고 명시했다.   노인회관은 45년 전에 지어졌고 4월에 폭풍우의 피해로 현재 보수가 필요한 상태이기 때문에 이 낙후된 건물을 수리할지 팔고 새로운 곳으로 이사갈지에 대한 의견이 분분한 상태다. 현재 이 건물은 45-50만불 정도의 가치가 매겨지고 있다.   이형천 회장은 또한 “예전에는 한인회와 노인회가 한 건물에 같이 있었는데 한인회가 현재의 노인회관 건물을 사서 노인회에 선물로 준 후 한인회는 로얄레인에 사무실을 사서 나오게 되었다”고 설명하며, “노인회관의 주인은 모든 노인분들이시다”고 덧붙였다. 이길자 재무 담당은 “ 4월에 물난리가 나고 5월에 재무 인수인계가 이뤄지면서 이제야 2분기 재무보고를 하게 된 점을 이해해달라”고 말문을 열면서 4-6월 동안의 수입과 지출에 대한 회계현황을 보고했다.   회의가 끝난 후에는 에어로빅 강사인 루시의 인도로 신나는 음악과 함께 하는 체조 시간이 이어졌고, 점심식사를 함께 하며 교제하는 시간을 가진 후 8월 정기모임을 마쳤다. 한편, 이날 노인회 월례회에서 세미한 교회(담임목사 이은상)가 점심을 제공했고 한국홈케어(원장 유성주)가 후원했다.           캐서린 조 기자노인회관 달라스 달라스 한국노인회관 노인회관 건물 이형천 달라스

2024-08-26

“노인회관의 주인은 모든 회원들”

 달라스 한국노인회는 지난 17일(토) 한인문화센터 아트홀에서 오전 11시에 월례회로 모였다. 40여 명이 모인 이날 월례회에서는 낙후된 노인회관과 문화센터의 사용에 대한 설명과 의견 수렴 및 2/4분기 재무보고가 월례회에서 진행됐다.   회의를 시작하는 말에서 이형천 달라스 한국노인회 회장은 이 날 모임의 목적이 달라스 한국노인회 모임 장소 사용에 대한 토론과 노인회관과 관련해 불거진 문제들에 대한 확실한 정보를 함께 나누고 의견을 수렴하기 위함이라고 설명하며 이날 모임의 주 목적에 대한 설명의 말을 이어갔다. 이혀언 회장은 “지난 8.15 광복절 행사 때 김래웅 전 한인회 회장을 통해 달라스 한국노인회관에 대한 정보를 들을 수 있었다. 노인회관은 김 전 회장이 6만불을 내고 구입한 것이고 그때 은행과 회계 관련 처리는 김용삼 전 부회장을 통해 이뤄졌다”라고 말하며 “노인회관을 수리하거나 매매하는 문제는 우리끼리 결정할 일이 아니라 한인회장과 각 단체장들 및 그 당시 건물 매입에 관여한 김래웅 전 회장, 김용삼 전 부회장 등 예전 임원들이 함께 모여서 공청회와 같은 공식 회의를 거쳐서 결정되어야 한다”고 명시했다.   노인회관은 45년 전에 지어졌고 4월에 폭풍우의 피해로 현재 보수가 필요한 상태이기 때문에 이 낙후된 건물을 수리할지 팔고 새로운 곳으로 이사갈지에 대한 의견이 분분한 상태다. 현재 이 건물은 45-50만불 정도의 가치가 매겨지고 있다.   이형천 회장은 또한 “예전에는 한인회와 노인회가 한 건물에 같이 있었는데 한인회가 현재의 노인회관 건물을 사서 노인회에 선물로 준 후 한인회는 로얄레인에 사무실을 사서 나오게 되었다”고 설명하며, “노인회관의 주인은 모든 노인분들이시다”고 덧붙였다. 이길자 재무 담당은 “ 4월에 물난리가 나고 5월에 재무 인수인계가 이뤄지면서 이제야 2분기 재무보고를 하게 된 점을 이해해달라”고 말문을 열면서 4-6월 동안의 수입과 지출에 대한 회계현황을 보고했다.   회의가 끝난 후에는 에어로빅 강사인 루시의 인도로 신나는 음악과 함께 하는 체조 시간이 이어졌고, 점심식사를 함께 하며 교제하는 시간을 가진 후 8월 정기모임을 마쳤다. 한편, 이날 노인회 월례회에서 세미한 교회(담임목사 이은상)가 점심을 제공했고 한국홈케어(원장 유성주)가 후원했다.           캐서린 조기자노인회관 회원 달라스 한국노인회관 노인회관 건물 한인회 회장

2024-08-23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